분류 전체보기

    정재승의 과학콘서트

    정재승의 과학콘서트

   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정재승의 과학콘서트는 저의 학창시절에도 필독서로 선정된 책입니다. 벌써 20년이라니... 그 때는 안읽고 이제서야 읽게 되었습니다. 제목에서 '과학' 이라는 키워드가 들어갔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가볍게(?) 풀어낸 내용일 줄 알았습니다. 물론 초반에는 약간 흥미를 돋우기 위해 그러한 내용이 많았습니다. 그러나 본 책의 악장(챕터)가 진행 될 수록 느껴졌던 것은, 발견된 사회현상을 인문-사회과학으로만 햬결하자! 혹은 과학적 분석을 통해 해결하자! 의 자세는 지양하고, "인문-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이 조화롭게 협력하고 때론 열정적으로 논쟁해야만 복잡한 사회 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" 의 자세를 널리 알리고자 함의 목적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. 특히나 저..

    최빈값 구하기

    최빈값 구하기

    Counter 를 활용하여 리스트내의 최빈값(mode)을 구해보자 num = [0, 0, 0, 1, 2, 2, 2, 3]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# Counter 클래스는 각 데이터가 등장한 횟수를 dict형태로 반환한다. b = Counter(a) print(b) >>> Counter({0: 3, 2: 3, 1: 1, 3: 1}) # most_common() 메서드는 요소의 등장 횟수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반환한다. mode_a = b.most_common() print(mode_a) >>> [(0, 3), (2, 3), (1, 1), (3, 1)] #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를 삽입하면 그 크기만큼 반환한다. one_mode = b.most_common(1) p..

    순열, 조합

    순열, 조합

    with "itertools" 패키지 # 패키지 삽입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a = [1, 2, 3] combi = list(combinations(a, 2))# 조합하고자 하는 리스트, 조합 set의 갯수 permu = list(permutations(a, 2))# 순열하고자 하는 리스트, 순열 set의 갯수 print(combi) >>> [(1, 2), (1, 3), (2, 3)] print(permu) >>> [(1, 2), (1, 3), (2, 1), (2, 3), (3, 1), (3, 2)] # combinations 및 permutations 모두 튜플 쌍으로 반납함. # 각 요소에 접근하는 ..

    Dictionary (딕셔너리)

    Dictionary (딕셔너리)

    dictionary key와 value 사용하기 ## 'key':value 로 구성. 이때 value는 int형임. >>> dic_days = {'MON':1, 'TUE':2, 'WED':3, 'THU':4, 'FRI':5, 'SAT':6, 'SUN':7} ## 순서가 없으므로 인덱스로는 접근할 수 없고, 키로 접근 가능함. >>> dic_days[0]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 File "", line 1, in KeyError: 0 >>> dic_days['MON'] 1 ## 변수로도 키에 접근이 가능함. >>> user_str = 'TUE' >>> comp_day = dic_days[user_str] >>> print(comp_day) 2 key 혹은 value를..